• Academic Library
  • HOME > 자료실 > 논집자료
  • 논집자료
 
[JLPF 20-3] 감사리스크 완화를 위한 정책 및 사업의 감사방법에 관한 연구(박희정)
 작성일 : 2016-01-07  조회수 : 2,235
   07박희정.pdf (310.7K) [93] DATE : 2016-01-07 11:40:39

감사리스크 완화를 위한 정책 및 사업의 감사방법에 관한 연구(박희정)


국문요약

 

감사방법론 측면에서 최근 변화는 입증적 접근방법으로부터 위험기반 접근방법으로의 전이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선진국을 비롯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정책 및 사업의 감사와 관련된 감사위험을 다루는 방법론이 감사실무에 활용할 수 있을 만큼 개발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감사원 출신의 우수 감사인들을 대상으로 한 행동사건면접을 통해 정책 및 사업감사의 리스크와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감사방법을 확인하였다. 정책 및 사업감사의 감사리스크모형은 해당 정책 및 사업의 내재적 위험과 감사기구의 감사관리위험의 교호작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입증감사인 재무감사와 달리 감사기구가 직접 자료를 수집하여 객관적인 의견을 제시해야 하는 정책 및 사업감사에서는 재무감사에서 크게 다루지 않고 있는 감사관리위험(또는 감사업무위험)이 감사목적의 달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감사원이 공공감사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종래의 적발식 감사에서 위험기반 감사나 심층평가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지만 감사사항의 잘못된 선정이나 감사결과의 실행가능성 저하는 성과감사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기구의 최고관리자들은 정책 및 사업감사의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감사인의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감사방법론, 정책 및 사업감사, 감사위험, 리스크관리


 
 

Total. 443
번호 제목 등록일 조회수
368 [JLPF 24-1] 조세지출 추계방법론에 따른 지방세 감면의 세수효과 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2019-07-16 1342
367 [JLPF 24-1]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는 연방제 수준의 분권을 위한 정부간 재정관계 개편과제(이재원) 2019-07-16 1125
366 [JLPF 24-1] 포용적 성장과 지방재정: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정부 간 재정관계를 중심으로(우명동) 2019-07-16 1131
365 [JLPF 23-3] 지방자치단체 재정조기집행의 재정운용 효과분석(최정우, 신유호) 2018-12-31 1895
364 [JLPF 23-3] 보통교부세 배분에 있어서 인구변화의 한계효과에 관한 연구(최병호, 이근재) 2018-12-31 1742
363 [JLPF 23-3] 수평적 재정 불균형을 고려한 국세의 지방세 이양 방안(유태현, 임상수) 2018-12-31 1784
362 [JLPF 23-2]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제약과 도시개발공사 채무에 대한 연구(허명순) 2018-09-09 1722
361 [JLPF 23-2] 지니계수 분해기법을 이용한 시군 조정교부금의 재정형평화에 관한 연구(조기현) 2018-09-09 1661
360 [JLPF 23-2] 제도변화에 따른 재정조정제도의 형평화 효과 분석(최지은, 전지성, 장봉진) 2018-09-09 1359
359 [JLPF 23-2] 형평성 제고를 위한 지방재정조정제도 개선 방안(박병희) 2018-09-09 1817
358 [JLPF 23-2] 일본 고향납세의 기부특성에 관한 연구(국중호, 염명배) 2018-09-09 1574
357 [JLPF 23-2] 지역경제성장을 위한 세입분권 확대 방안(구균철) 2018-09-09 1304
356 [JLPF 23-2] 참여정부 재정분권 정책에 대한 평가(김홍환) 2018-09-09 1766
355 [JLPF 23-1] 경기도 지방자치단체 과학기술분야 공공재원의 선순환구조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김명진) 2018-05-02 1470
354 [JLPF 23-1]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이 특별교부세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김애진) 2018-05-02 1534
 1  2  3  4  5  6  7  8  9  10    
AND OR